<흰> - 파도에 몸을 싣고

한줄평: 파도에 몸을 싣고
☆ ☆ ☆ ☆
저자를 알게 된 계기는 <채식주의자> 때문이었습니다. 이 작품이 해외에서 상을 수상했다고 타임라인이 들떠 있었습니다. 한 번 읽어볼지 말지 알아봐야 하겠다는 생각에 검색을 했습니다.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겁이 났습니다. 제가 과연 이 책을 잘 소화할 수 있을지 감이 오지 않았거든요. 해외에서 상까지 받을 만한 작품이라면 완성도는 보장되지만, 완성도를 이루는 얼개를 제대로 더듬을 자신이 없어서 조용히 넘어갔습니다. 그 뒤로도 한강의 작품은 타임라인에 언급됐습니다. 어떤 분은 <채식주의자>는 다양한 요소를 다루고 있어서 문학 초보에게는 어려울 수도 있다고 감상을 남겼습니다. 딱 제 기분이 그랬지요. 문학 계열에 익숙하지 않은 제가 섣불리 건드리면 안 되는 성역으로만 생각했지요.
그런데 2024년 한국인으로서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가 나왔습니다. 바로 어렵다고 피해왔던 한강 작가님입니다. 책을 구매할지 조금 고민했습니다. 해외 작가가 수상했다면 작가에 대해서 작가의 삶에 대해서 작가의 국가에 대해 아는 배경지식이 없기 때문에 오독하게 되더라도 핑계를 댈 게 많았습니다. 그런데 한국 작가가 수상했습니다. 빠져나갈 구멍이 없었습니다. 그래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의 작품은 적어도 1권 이상은 읽어왔기 때문에, 과감히 도서를 구매했습니다. 첫 노벨문학상 수상자 소식에 타임라인은 요동을 쳤습니다. 그 글들을 하나씩 읽어보니 공통된 분모가 하나가 나왔습니다. 감정에 예민하게 반응한다면 마음에 태풍이 일수도 있으니 조금씩 천천히 읽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음미할 부분이 많다는 뜻도 포함되겠지요.
<흰> 이 작품을 읽으면서 ‘조금씩 천천히’의 의미를 실감했습니다. 찰나를 묘사하는 문장들이 폐부를 찔렀습니다. 바람이 산들산들 불다가도 거세게도 불었습니다. 절묘하게 강약 조절을 해 주어서 끝까지 읽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문학적 소양이 얕은 제가 감히 글의 의도를 논할 자격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책에서든 의미를 찾아내야 한다는 저만의 법칙은 내려놓겠습니다. 한강 작가님이 구축한 소설 세계는 <흰>에 실린 평론을 읽는 쪽이 더 좋고요. 이 감상문에서 저는 <흰>을 읽으면서 느꼈던 감정을 최대한 언어로 치환해 표현해 보고자 합니다. 감상문을 쓰면서 책 소개도 제대로 하지 않는다니 불성실하네요.
1. <붉은>
이 팔에서 몇 번 피를 흘렸는지 모르겠다. 그 때마다 자력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외부의 힘을 빌려서 가까스로 숨을 쉬었다. 외부의 힘이 멀어질 때마다 짐작도 할 수 없는 양의 피가 다시 흐른다. 인생을 외부 요소에 의지하지 않는 삶을 그리고 싶다.
2. <짓눌린>
눈이 내린다. 그 눈은 세상을 하얗게 물들인다. 검은 아스팔트를 화사하게 바꾼다. 그 뒤로 태양열에 서서히 녹아가는 것이 그들의 운명이다. 그런데 그 길 위를 자동차 바퀴가, 인간의 두 발이 짓누른다. 자신들이 순백의 한 삶을 새까맣게 칠하는 걸 애써 외면하면서. 눈은 생각한다. 이 위기를 벗어나려면 눈으로서의 삶을 포기하는 수밖에 없다고.
3. <앓고 있는>
가장 심하게 앓았던 시기에 알약을 복용했던 적이 있었나? 없었다. 계속 앓았기 때문에 누구나 앓고 있는 상태일지도 모른다며 익숙해지려고만 했다. 그런데 지금 그 앓음이 치료의 대상이 되었다. 수십 년을 앓아온 이 앓음을 어떻게 감당하려고 치료하겠다고 덤비는지 모르겠다. 수박 겉핥기식의 치료로 도대체 나의 무엇을 바꾸고 싶은지 묻고 싶다.
작가 소개
한강
1970년 겨울 광주에서 태어났다. 1993년 『문학과사회』 겨울호에 시 「서울의 겨울」 외 네 편을 발표하고 이듬해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붉은 닻」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여수의 사랑』 『내 여자의 열매』 『노랑무늬영원』, 장편소설 『검은 사슴』 『그대의 차가운 손』 『채식주의자』 『바람이 분다, 가라』 『희랍어 시간』 『소년이 온다』 『흰』 『작별하지 않는다』, 시집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등을 출간했다.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이상문학상, 동리문학상, 만해문학상, 황순원문학상, 김유정문학상, 김만중문학상, 대산문학상, 인터내셔널 부커상, 말라파르테 문학상, 산클레멘테 문학상, 메디치 외국문학상, 에밀 기메 아시아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노르웨이 ‘미래 도서관’ 프로젝트 참여 작가로 선정되었다. 2024년 한국 최초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